정형외과
무릎관절, 어깨관절
엉덩이관절, 발목관절 등
NEUROSURGERY
신경외과는 뇌, 척추, 척수, 말초신경 등 신경 계통에 관계된 질환이나 외상 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인체의 신경계와 신경계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 구조물을 다루는 임상의학의 한 분야로써 뇌종양, 뇌혈관 질환 등의 뇌질환, 외상에 의한 뇌출혈, 두개골 골절, 척추체 골절 및 척추 추간판 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골다공증 등의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척추관 협착증, 추간판 탈출증 (디스크 질환) 관련하여 양방향 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허리디스크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가 탈출된 증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라고 불리지만 디스크는 구조물의 이름일 뿐, 허리디스크에 해당하는 정확한 질환명은 ‘요추추간판탈출증’입니다. 디스크, 즉 추간판은 탄력성이 뛰어나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켜 주고 딱딱한 뼈끼리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막아줍니다. 이 디스크가 외부의 큰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튀어나오게 되면 염증이 생기고 신경을 눌러 요통, 방사통 등의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허리디스크라고 합니다.
척추관협착증
척추관 협착증이란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 아래위 척추에 의해 추간공이 생기며 가운데 관 속은 뇌로부터 팔다리까지 신경(척수)이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관 모양은 타원형 또는 삼각형으로 경추 부위(목 쪽)에서 가장 크며 흉추 부위(가슴 쪽)에서 좁아졌다가 요추부(허리 쪽)에서 다시 커진 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